728x90

내가 궁금하면, 너도 궁금할꺼야/내가 알고 싶은 것, 적고 싶은 것 18

초간단 티스토리 사진 나란히, 사진 여러장 배치

차근차근 알아가자티스토리 사진 나란히 배치티스토리 사진 여러장 배치 티스토리는 왜 직관적으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버튼)이 없는걸까?알고보면 참 간단한데, 검색창을 두드리게 만드는 묘한 재주가 있다. ㅎㅎ 각설하고, 제목에서 밝혔던 것처럼 초간단 티스토리 사진 편집 방법을 공유하려 한다. 1. 나란히 배열하려고 하는 사진들을 불러온다.- 상단 사진모양 버튼을 눌러 나란히 배열하려고 하는 사진들을 모두 불러온다. 2. 나란히 배열하려고 하는 사진을 클릭, 원하는 위치로 끌고 간다. 빨간색 선이 보이면 마우스를 놓는다.- [그림1] 옆에 [그림2]를 놓고 싶다면, [그림2]를 클릭하고 [그림1] 우측으로 천천히 끌고온다.- 빨간색 선이 보일 때 마우스에서 천천히 놓는다.- 같은 방법으로 [그림..

초간단 티스토리 방문자수 감추기, 방문자수 숨기기, 방문자수 삭제

차근차근 알아가자티스토리 방문자수 감추기   티스토리를 시작한지 2주,이제 글이 제법 쌓여 메인 페이지를 정돈하기로 했다. 우측 사이드바에 길게 나열된, 불필요한 정보의 카테고리들을 삭제하고 싶었는데... 특히 방문자 수ㅋ차일피일 미루다 오늘 실행에 옮긴김에 해당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 사이드바 메뉴를 삭제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1) HTML 수정과 (2) 설정에서 수정 복잡한 HTML 수정 대신, 설정에서 수정하는 초간단 방법을 공유하려 한다. 1. [설정] -[꾸미기]-[사이드바]를 클릭한다. 2. 우측 사이드바 메뉴에서 삭제하고 싶은 카테고리를 삭제한다:  빼기 모양(ㅡ) 클릭- 이미 HTML로 '전체 방문자수' 카테고리를 삭제한터라, '공지사항' 옆 빼기 모양을 삭제해봤다. 3. 우측..

어버이날 공휴일 지정, 어떻게 생각하세요?

어버이날, 1973년 법정 기념일 정식 지정법정 공휴일 지정 논의 10년째 지속오늘은 어버이날!어버이날을 기념해서 지난 주말에 즐겁게 가족모임을 했지만 당일 부모님께 전화만으로 안부와 감사인사를 전하는건 뭔가 어색하다. 매년 생각하는데, 어버이날은 왜 공휴일이 아닐까?라디오를 듣다가 관련해서 재미있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어서 공유해보려한다.공휴일로 지정되었으면 하는 기념일은?SK커뮤니케이션즈의 시사 폴(Poll) 서비스 ‘네이트큐(Q)’가 지난달 9~17일 성인남녀 9,482명을 대상으로 ‘쉬는 날로 지정됐으면 하는 국경일이나 기념일’을 묻자 응답자의 49%(4662명)가 ‘어버이날’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어버이날 공휴일 지정을 희망했다. - 20대와 30대는 각각 47%, 48%- ..

2024 대한민국 대학교 서열

2024 대학교 서열우연히 네이버에서 2024년 대한민국 대학교 서열이라는 그림을 보게 되었다. 수년간 대학교 입시와 동떨어져 있었는데... 서열이라는 이름으로 대학교의 이름과 로고들을 보아하니 씁쓸하다.학창 시절 친구들과 "대학교 서열의 경계가 무너지고 대학교라는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져 온오프라인으로 내가 듣고 싶은 강의를 맘껏 들을 수 있다면?" 하고 상상하던 때가 있었는데...경계가 허물어지고 희미해지는 환경 변화 속에서 언젠간 지나친 경쟁의 결과물이 아닌 순수 지식 함양을 위한 학교로 가치가 재발현될 날들이 오겠지.- 지하철 기다리다 끄적끄적

[한글 맞춤법] 냄새가 배다 베다

배다 vs 베다당연히 썼던 한글들이 순간 헷갈릴 때가 있더라고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오늘은 혼동되는 한글 맞춤법 배다 vs 베다에 대해 간단히 30초 컷으로 알아보겠습니다.맞춤법 제대로 짚어보고 절대 헷갈리지 말자고요!배다 '배다'는 액체나 냄새 등이 스며들거나 스며 나올 때, 버릇이 들었을 때, 아이나 새끼를 가졌을 때, 근육이 뭉쳤을 때 씁니다.(예문)- 옷에 땀과 음식 냄새가 뱄다.- 농악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배어 있다.- 몇 달 만에 겨우 일찍 일어나는 습관이 몸에 뱄다.- 얼루기가 새끼를 뱄다.베다 '베다'는 무엇을 머리 아래에 받치거나 음식이나 물건을 끊거나 자를 때 씁니다.(예문)- 동생은 내 무릎을 베고 잠이 들었다.- 형은 낫으로 잡초를 벴다.- 남편은 인절미를 베어 물면서도 말을 ..

[한글 맞춤법] 가방을 매다 메다

매다 vs 메다당연히 썼던 한글들이 순간 헷갈릴 때가 있더라고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오늘은 혼동되는 한글 맞춤법 매다 vs 메다에 대해 간단히 30초 컷으로 알아보겠습니다.맞춤법 제대로 짚어보고 절대 헷갈리지 말자고요!매다'매다'는 끈이나 줄 따위를 몸에 두르거나 감아 잘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 때,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 때 사용하는 단어예요.(예문)- 신발 끈을 매다.- 옷고름을 매다.- 전대를 허리에 매다.메다'메다'는 어깨에 물건을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 사용하는 단어예요.(예문)- 어깨에 배낭을 메다.- 총을 메고 수백 명이 오고 있습니다.짤막 퀴즈타임Q. 아래 문장에서 맞춤법이 맞는 문장은 무엇일까요?다들 선택하셨나요? 정답은 2번 메..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Top 50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Top 50한글 문서를 매일 같이 다루다 보니 끊임없이 한글 맞춤법을 확인하게 되는데요, 이번 블로그에선 자주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50개를 선별하여 소개드립니다.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 띄어쓰기 1. '되어' vs '돼': '되어'는 '되다'의 활용형, '돼'는 '되어'의 준말. (예: 안 돼/ 안 되어) 2. '-(으)로서' vs '-(으)로써': '-(으)로서'는 지위/자격, '-(으)로써'는 수단/방법. (예: 학생으로서/ 연필로써) 3. '까지' vs '까지는': '까지'는 도착점/마지막, '까지는'은 도착점 제외. (예: 오늘까지/ 내일까지는) 4. '만큼' vs '만큼은': '만큼'은 정도/비교, '만큼은'은 강조. (예: 너만큼 크다/ 너만큼은 착하다) 5. ..

핵심만 콕콕! 내가 궁금한, 서울 지하철 파업(2024년 11월 24일 기준)

서울 지하철왜 파업하는 건가요?서울에서 경기도 파주로 이사하고 출퇴근이 너무 힘든데, 최근 나를 더 힘들게 하는 요소가 있으니... 바로 서울 지하철 파업!내가 궁금해서 찾아본 서울 지하철 파업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서울 지하철 파업, 이유는?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인력 감축, 임금 협상, 구조조정 등에 반발하여 파업을 예고했다. 안전 문제, 물가 상승률 반영 임금 인상, 근무 조건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파업의 쟁점 3가지]1. 인력 감축서울교통공사는 안전 인력 감축 없이 역무 자동화, 효율화 등을 통해 인력 감축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현장 인력 부족을 초래하여 안전 문제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반박하고 있다. 2. 임금 협상노조는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적인 임금 인..

[한글 맞춤법] 목메다 목매다

목메다 vs 목매다 저는 한글 맞춤법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하는 편인데요.가끔 당연히 썼던 한글들이 헷갈릴 때가 있더라고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오늘은 혼동되는 한글 맞춤법 목메다 vs 목매다에 대해 간단히 30초 컷으로 알아보겠습니다.1. 목메다 vs 목매다 정의와 예문 목메다1.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 목메이다는 '목메다'의 비표준어(예문) - 그녀는 하늘나라에 있는 아들의 이름을 목메어 불렀다. - 50년 만에 아버지를 만난 아들은 목멘 소리로 아버지를 불렀다.- 나는 흐르는 눈물을 주먹으로 씻으면서 목멘 소리로 말했다. - 목메지 않도록 천천히 먹어라.   목매다1. 죽거나 죽이려고 끈이나 줄 같은 것으로 높은 곳에 목을 걸어 매달다.(예문..

[한글 맞춤법] -에요 -예요 -이에요

-에요 vs -예요 vs -이에요  당연히 썼던 한글들이 순간 헷갈릴 때가 있더라고요. 여러분은 어떠신가요?오늘은 혼동되는 한글 맞춤법 -에요 vs -예요 vs -이에요에 대해 간단히 30초 컷으로 알아보겠습니다.맞춤법 제대로 짚어보고 절대 헷갈리지 말자고요!짤막 퀴즈타임Q. 아래 문장에서 맞춤법이 맞는 문장은 무엇일까요? 다들 선택하셨나요?정답은 1번 '전부예요(-예요)'가 맞습니다.오답률이 무려 35%나 되어요!!! 그만큼 헷갈리는 우리말이라는 거죠.  에요/ 이에요/ 예요정의와 예문  '에요'의 사전적 의미- 설명,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에요'는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는 종결어미입니다.보통 받침이 없는 체언의 뒤에 붙는 말인데, 받침이 없는 경우에는 앞에 '이'가 붙어 '이에요'..

728x90